2019년 기독교교육계의 이슈

2019년 기독교교육계의 이슈

2019-01-09 0 By worldview

초기 교육계의 기독교세계관 운동
사회 정의에 뛰어든 기독교세계관 운동
비고츠키(Lev Vygotsky)이론

 

2019년 기독교교육계의 이슈

 

월드뷰 01 JANUARY 2019

● 기독교세계관으로 세상을 보는 매거진 | ISSUE 15

 

김정효/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초기 교육계의 기독교세계관 운동

1990년대부터 본격화된 교육계의 기독교세계관운동은 신앙과 삶을 분리해온 한국교회의 이원론적 신앙관을 배격하는 일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교육에 종사하는 기독인들에게는 세속주의적 가치관이 어떻게 교육에 배어 있는지를 인식하고 무의식에 자리잡은 이원론적 세계관을 끄집어내는 일은 쉽지 않았다. 기독교학교에서 예배를 보고 성경을 가르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비판을 받아들이고 자성적 성찰과 새로운 모색을 찾아 나서는 데에는 또 다른 헌신이 요구되었다. 예배드리고 성경을 가르치는 것조차 문제가 되는 사회에서 미션스쿨들에게 교과서에 배어있는 진화론과 물질주의, 그리고 무신론적 세계관을 그대로 가르쳐왔다는 비판은 뼈아픈 것이었다. 사실 대개의 미션스쿨들은 불신자 전도나 기독학생들을 성화된 삶으로 이끄는 일을 감당하기 어려웠고 오히려 세상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기독교육자들은 기독교교육을 하면서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지 못하고 세상 사람들과 같이 교육을 성공과 출세를 위한 수단으로 삼아왔다는 반성이 일반화되었고 여러 가지 대안들이 모색되었다. 미션스쿨을 새롭게 변혁하려는 노력과 함께 많은 기독교대안학교들이 생겨났고 기독교육자들의 모임 등이 결성되었다. 국어, 수학, 과학, 사회 등의 교육과정을 어떻게 기독교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지, 그리고 학교를 운영하는 교육행정의 방식에서는 어떠한 변화를 주어야 하는지에 대한 많은 세미나와 출판이 있었고, 해외 기독교학교 탐방과 해외 기독교육자들의 초청 등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북미의 기독교교육과정 재구성학자 반 브룸멜런(Van Brummelen)과 오버만(Overman)과 존슨(Johnson) 등의 이론이 소개되었으며 최근에는 호주의 National Institute of Christian Education의 ‘Design for Transformation’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DfT는 단지 기독교세계관의 창조-타락-구속 등의 신학적인 요소를 교육과정에 단순히 적용하는 수준을 넘어 실제로 학습자의 삶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사회에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하자는 것이었다.

사회 정의에 뛰어든 기독교세계관 운동

교육과정의 이원론 극복에 초점을 두어왔던 기독교세계관운동은 점진적으로 교육의 세속화 현상으로 빚어지는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로 초점이 옮겨지게 되었다. 우리사회 교육의 회복을 위해서는 고질적인 병폐가 되어온 입시와 사교육의 사회문제를 개선하는 일은 중요한 것이었다. 그 동안 기독교육자들의 단체는 여러 모로 이를 억제하기 위한 정부의 교육정책을 이끌어 내는 일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우리사회 교육의 세속화문제는 개인의 죄성뿐만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는 사회의 제도에 배어있는 악에서 비롯되었다고 봄으로써 사회제도이슈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로써 세계관운동가들의 사회참여가 활발하게 일어났다. 즉 자본주의제도가 교육의 세속화의 원인이 되었다고 보는 입장에 서게 된 것이다. 교육에서는 마르크시즘에 기반을 두고 교육현상을 해석하고 대안을 찾는 입장을 비판과학자(critical scientist)라고 하는데, 일부 기독교교육자들은 교육을 통해 부의 양극화를 심화시키게 되었다고 보는 비판과학자의 입장에 적극 호응하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세계관운동은 신앙과 학문의 통합이라는 학문적인 이슈에 머무는 단계를 넘어,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적 정의에 대한 사회참여 방식으로 진전되게 되었다.

더욱이 최근에 우리사회가 정치적 변혁기에 들어서면서 교육계에서의 기독교세계관운동은 급격하게 사회정의와 이념의 이슈로 넘어가게 되었다. 신앙과 학문을 통합하자는 세계관 이슈는 그 대안을 진지하게 모색하여 대학과 학교의 대안적 세계관으로 자리 잡기도 전에 너무 빨리 사회참여이슈에 밀려나게 된 것 같다. 기독교교육계에서도 교육의 세속화의 심화를 시장경제의 부작용의 일면으로 보기보다는 시장경제자체의 문제로 보는 경향이 등장하게 되었다. 교육전반의 논의에서도 개인의 자유보다는 사회의 공익을 우선으로, 자유보다는 평등을, 시장경제의 논리보다는 사회주의논리를 우선으로 하는 집단주의적 논리가 더욱 힘을 얻게 되었다. 교육복지, 교육의 공공성 그리고 교육평등을 위해 국가의 개입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기독교교육자들도 함께 내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이제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사회주의적 대안에 대해서도 경계의 시각을 가져야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기독교에서는 자본주의적 요소와 사회주의적인 요소가 함께 있다. 그러나 이미 서구 기독교교육 관련 연구들에서는 국가 개입의 확대는 개인의 자유와 선택권을 축소하고 교육에 대한 전문가집단의 결정권을 약화시킴으로써 국가 전체주의로 흐르게 된다는 점에 대해 지적하여 왔다. 국가가 각 사회의 다양한 영역들 즉 가정, 학교, 교회, 지역사회 등의 영역주권을 무시하고 모든 것을 결정하게 되면 국가권력을 가진 소수자들에 의한 횡포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시장경제의 부작용보다 심한 개인의 자유의 침해와 종교적 억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2017년 IVP에서 출간된 <C.S.루이스의 순전한 교육>에서 루이스는 민주주의, 평등, 자유, 관용이라는 이름으로 어떻게 소수 권력자의 횡포가 이루어 질 것인지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다.

2019년도에 싸워야 할 견고한 진

지금까지 이원론적 신앙관과 교육의 세속화가 기독교세계관운동의 중요한 초점이 되어왔다면 이제 그 초점은 교육에 깊숙이 자리 잡은 집단주의적 세계관일 수 있다.

집단주의적 세계관이 교육의 주도적 세계관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은 1990년을 전후하여 동서냉전시대가 종결되면서이다. 사상적으로 오히려 집단주의적 사상이 이념의 벽을 넘어 서구대학의 캠퍼스에 소개되는 계기가 되었다. 독일의 동서장벽이 허물어지고 소련이 붕괴되는 시점에 자본주의체제를 근간으로 하는 자유진영의 체제가 표면적인 승리를 하였으나 결과적으로는 서구의 세계관은 개인주의적인 경향에서 집단주의적 경향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지금은 모든 사범대학의 학습이론에서 주류가 되는 비고츠키(Lev Vygotsky)이론, 소위 구성주의 이론이라는 것은 서구의 개인주의적 심리학과 인식론을 대체하게 되었다. 사실 그의 이론은 모스크바대학에서 서구 개인주의 심리학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프로젝트의 결과였다. 그의 이론에 의하면 자아개념이든 지식이든 모든 인간의 인식은 태어나면서 가지고 나오거나 개인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아니고 사회적 기반을 가지고 구성되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곧 인간의 본성에 변화되지 않는 본질이란 없으며 모든 것은 시공에 따라 변화하는 사회적인 산물일 뿐이라는 입장으로 곧 마르크시즘의 유물론을 반영한 것이었다. 이 이론은 도덕성, 인지, 그리고 성정체성 발달을 설명하는 교육심리학의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

심리학 뿐 아니라 교육과정이론에서도 마르크시즘을 근간으로 하는 비판과학자들이 있다. 이들은 단지 불평등과 억압의 문제를 경제적인 측면에만 국한하지 않고 모든 삶의 영역으로 확대한다. 이들은 아동 대 어른, 자녀 대 부모, 여자 대 남자, 학생 대 교사, 장애인 대 비장애인 모든 사람들을 이분법으로 나누고 모든 관계를 권력구조로 환원하여 설명한다. 현재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세계관은, 기득권에 의해 주입된 허위의식이란 것을 의식화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짜고, 이를 주입한 억압자들을 적(enemy)으로 인식하며 이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해방을 곧 교육이라고 한다. 즉 이들에게서 ‘교육된 사람’이란 ‘해방을 위해 집단적 정치적 행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북한의 교육과정을 보면 바로 이러한 논리가 잘 반영되어 있다. 최근 북한이탈 청소년의 소학교경험에 대한 연구를 보면 북한 교육에서도 ‘미국과 일본을 원수로 보도록 의식화하며 남조선을 제국주의로부터 해방하기 위해 헌신’하도록 가르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비판과학자들은 최종적으로는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주류가 되기도 하였다.

교육문제에서 사회주의적인 경향은 비단 일군의 교사집단만의 문제가 아니며, 교육의 정치화는 교육감 선거에서만 나타나는 일이 아니다. 교육의 현상 이면에 주도적 세계관으로 깊숙이 자리 잡은 마르크시즘 혹은 집단주의적 경향은 여러 교육의 이슈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2019년도에 우리사회의 교육은 전반적으로 국가개입이 확대되는 문제에 대해 경계하여야 한다. 복지와 공공성과 평등이라는 이유로 이루어지는 국가개입의 확대는 국가이외에 가정, 교회 그리고 다양한 사회영역의 약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복지와 공공성 강화 등은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교육복지를 위해서는 재정지원이 직접적으로 학교로 주어지게 하기 보다는 가정으로 지원되도록 해야 한다. 이로써 학부모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들이 기독교학교를 포함해 보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최근에는 교육부 교육발전위원회로 하여금 교사교육 교육과정을 권고하고 교사임용시험에서 교육청의 권한이 확대되는 개선안이 논의 중이라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대학에서는 이미 총장선거에 학생이 참여하는 변화가 일고 있고, 정부에서는 민주시민학교를 만들려고 하고 있으며, 정당들은 유권자의 연령 제한을 만 18세로 낮추려 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학생들의 정치참여를 가속화시킬 것임으로 이를 위해 대비하여야 한다. 기독교학교 그리고 교회교육에서는 성경을 깊이 있게 가르칠 뿐 아니라 우리가 싸워야 하는 견고한 진이 무엇인지에 대해 분별을 가지도록 세계관교육을 중요시 다루어야 한다.

히브리어로 교육(chanak)이란 봉헌(offering)과 같은 어근을 가진다. 교육은 하나님께 하나님이 주신 자녀를 다시 돌려드리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독교육의 사명은 하나님을 알게 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그리스도를 대적하여 높아진 세속적 세계관을 대적할 수 있도록 우리자녀를 준비시켜야 하며 더 나아가 세상에 빛과 소금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junghyo@ewha.ac.kr)

 

JUNG HOY KIM 김정효 | 미국 오아이오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초등교육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기독교교육과정개발과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기독교학문학회의 교육분과장, 부속초등학교교장, 초등교육학회회장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