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의 정신과 유산
2019-03-073.1운동의 정신과 유산
월드뷰 03 MARCH 2019● 기독교세계관으로 세상을 보는 매거진 | ISSUE 12 |
최재건/ 연세대 한국기독교연구소 교수
1. 3.1운동과 기독교
3.1운동은 한국 역사에서 처음으로 지도층과 일반 백성이 일으킨 최대의 민족운동이었다. 자유, 독립, 평등, 평화를 부르짖고 백성이 주인 되는 근대국가를 지향한 혁명적 사건이었다. 이 운동은 3.1정신으로 승화되어 민족혼이 되었다. 한국교회는 3.1운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교세가 강했던 천도교의 역할도 컸다. 불교도 참여했다. 그러나 기독교의 역할이 가장 컸다. 함석헌은 3.1운동의 주역이 누구냐고 논할 필요도 없이 기독교라고 단정하고 “기독교신앙 없이는 3.1운동이 없다”고 단언했다. 아울러 민경배도 기독교회가 핵심역할을 했고 교회가 참여하지 않았더라면 3.1운동은 일어날 수도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한국기독교회는 그때 역사가 35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민족대표 서명자 33인 중 16인이었고 비서명자 48인중에도 과반수인 24인이나 되었다.
천도교의 당시 교세가 근 300만이나 되었던 것에 비하면 기독교는 수적으로 매우 약세였다. 3.1운동 무렵의 전국 인구는 2,000만 정도였고, 기독교 진영은 개신교인 219,220명, 가톨릭과 정교회 교인 99,488명을 합하여 총 318,708명으로 인구 대비 1~1.5% 정도였다. 교회당은 신구교를 합하여 3,252개였다. 그런데도 전국적으로 교회와 연계된 학교가 832개나 되었다. 이들이 3.1운동 때 활동자원이 되었다. 외국 선교사들도 한몫했다.
조선총독부는 이미 한국의 지방행정구역을 완전히 개편하여 한국인의 조직을 없애버렸다. 민족 전통과 향토의식을 단절시켰다. 교회는 당시 한국인들이 가장 쉽게 모일 수 있는 만남의 장소였다. 교회는 조직적인 면에서도 전국적이었다. 한국교회는 선교회의 병원, 학교와 더불어 전국적으로 가장 잘 연결된 조직과 기구를 형성하여 최고의 연락망을 갖게 되었다.
한국교회는 일제에 대한 가장 강한 저항세력이었다. 제일의 지식인 그룹이기도 했다.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을사조약반대의 전통을 이어 구국기도운동, 청년회활동, 계몽운동, 나아가서 무장투쟁 까지도 교인들에 의해 활성화되었다. 신민회라는 비밀결사 단체에는 안창호, 윤치호, 이회영, 전덕기를 비롯한 800여 명의 기독교인들이 활동하였다. 황해도에서는 1908년경 김구를 비롯한 기독교계 인사들이 일면일교의 학교설립운동도 전개되었다. 소위 105인 사건이라는 것을 조작하여 기독교세력을 탄압했으나 황애덕이 주도하는 송죽회라는 비밀 독립운동 단체를 비롯하여 배민수를 중심으로 무력 항일운동을 꾀한 ‘조선국민회, 박용만의 대 조선국민군단, 한영서원 같은 비밀결사 같은 항일 단체들이 조직되어 활동했다.
교회는 3.1운동의 도화선이었다. 1918년 미국 윌슨 대통령이 민족자결주의를 제시하자 샤록스 선교사가 이 소식을 안창호, 이승만, 정한경에게 전하자, 파리강화회의와 국제연맹에 대표를 파견하여 한국독립 건의서를 보냈다. 중국에서도 김규식, 선우혁, 여운형, 서병호 등이 이에 공감하고 활동을 펼쳐나갔다. 3.1운동의 직접적 도화선인 도쿄 유학생들의 2.8독립선언도 기독교인들이 주역이었다. 재일 한국 YMCA 총무 백관수를 비롯하여 송계백, 서춘, 김도연 등 기독교인들을 중심으로 한 600여명의 유학생들이 윤창석목사 주재 아래 도쿄YMCA에서 ‘조선청년독립단’ 대회를 개최하고 조선의 독립의 선언과 독립운동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3.1운동의 준비도 기독교인들이 은밀히 하고 있었다. 천도교와 1919년 초 비슷한 시기였다. 이승훈은 기독교 인사들과 3차에 걸쳐 회의를 하고 천도교 측과 연합하기로 하였다. 거사일은 고종황제 인산일인 3월 3일과 주일인 2일도 피하여 3월 1일 토요일로 정해졌다. 그날 오후 2시 서울의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 서명자들은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 만세를 불렀다. 민족대표들은 독립선언을 한 후에 자진해서 경찰 당국에 신고하였고 곧 연행되었다. 처음 예정된 파고다공원에서는 학생들 중심의 독립선언식 후에 시위행진을 했다. 천도교에서 인쇄된 독립선언서는 이미 교회 조직망을 통해 전국에 배포되었다.
3.1운동의 확산도 교회가 제일 큰 역할을 하였다. 주로 경의선, 경원선을 따라 교회가 있는 곳과 교인들이 거주하는 곳들 중심이었다. 기독교인과 교계학교 학생들의 시위 참여가 다른 단체들보다 높았다.
처음 피습되고 희생자를 먼저 낸 것도 교인들이었다. 기독교가 가장 성행하던 평북 선천에서 무차별 사격이 시작되었다. 3월 1일 오후 2시 강신혁이 현장에서 순국하였고, 12명이 부상하고 60여 명이 피검되었으며, 4일에도 6명의 사상자가 나왔다. 교세가 가장 강했던 평양에서는 3월 1일 평양의 6개 교회가 연합하여 숭덕학교에서 연합집회를 가진 후, 시가행진을 하다가 군인들과 경찰들에 의해 해산되었다. 앞장섰던 강규찬, 김선두 목사 등 30여 명이 체포되었다. 당시 장로교 총회장이었던 김선두 목사는 그 해 총회에도 참석할 수 없었다.
3.1운동 피해도 인구에 비례해 교회가 가장 많이 당했다. 조선총독부의 통계로도, 사망 7,500여 명, 부상 16,000여명, 체포 46,948명, 공소 19,054명이었고, 7,816명이 유죄판결을 받았다. 기독교회가 입은 피해가 상대적으로 가장 컸다. 정주의 이승훈이 세운 오산학교는 전소되었다. 기독교인 전체로는 체포 약 4만, 투옥 2,190명, 사살 6천여 명이었다는 보고서도 있다. 다른 통계에서는 9,458명 중 기독교인이 2,087이었다. 어떤 통계에서는 1919년 말까지 주동자로 투옥된 19,054명 중에서 교인이 3,373명으로 17.7%였고, 여자 피검자 471명 중에서 교인이 308명으로 65.4%였다.
기독교인들이 3.1운동에 적극 참여한 특별한 의미가 있다. 첫째로 한국기독교회의 3.1운동 참여 동인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는 이웃인 나라도 사랑한다는 둘을 일치시킨 신앙심의 발로였다. 둘째는 기독교 신앙인의 사회 참여정신이었다. 3.1 독립운동은 민족운동이었으나 신앙운동으로 승화시켰다. 셋째는 에큐메니칼 정신이었다. 한국교회는 세계교회와 유기체임을 자각하고 선교사들과 연대하여 세계교회에 한국의 자주독립의 당위성을 알렸다.
- 삼일운동의 정신
3.1운동은 행동으로 보여준 것과 3.1 독립선언서에 그 정신이 잘 나타나있다. 선언서는 그 종류만 대략 33종이나 된다. 기독교인 주도한 선언서도 12종이다. 3.1독립선언서는 독립운동이 지속적으로 전국에 계속 일어날 수 있도록 독립선언서 자체가 대중의 호응을 얻었다. 이선언서에는 근대 서구사상의 개념과 일치하는 기독교정신의 요소가 많이 포함되었다.
3.1 운동의 정신은 첫째로 민족의 자주 독립, 자유정신이다. 왕정체제에서 벗어난 주권재민의 민주주의 국가 건설안이 제시되었다. 둘째로 온 백성이 중심이 된 민주정신이다. 민주운동이었고 민중운동이었다. 민주정신은 민중정신이기도하다. 셋째로 대동단결의 정신, 연합의 정신이다. 거의 온 민족이 국내외를 막론하고 거족적으로 종교, 계층, 성별, 지역 간의 장벽을 넘어 단결하였다. 넷째로 평등정신이다. 모든 민중이 각자가 주체적으로 평등하게 참여하였다. 다섯째로 저항정신이다. 3.1운동은 일제의 폭정, 차별, 수탈에 저항이었다. 후에 무력적으로도 저항 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여섯째로 비폭력 정신이다. 저항의 방법은 비폭력, 무저항 정신이었다. 비폭력정신은 군국주의 세력과 맞선 정의, 도의와 진리, 우애, 협력을 나타내는 평화의 정신이다. 시위 중 일어난 일부의 폭력은 일제의 무력 진압에 대응한 것이었다. 일곱째로 세계평화정신이다. 세계역사의 역방향으로 나아가는 일본의 식민지주의를 향해 자주 독립된 국가와 민족사이의 우애와 협력 평화와 공존을 실현하려는 새로운 세계평화 추구의 정신이었다.
- 3.1정신의 유산
3.1운동의 정신은 한국인의 유산이 되었다. 이미 1907년 신민회를 통해 도산 안창호를 비롯하여 김규식, 이승만 등의 기독교인들은 새나라는 기독교정신에 따라 건국하기로 하였다. 3.1정신의 첫 유산은 1919년 4월에 상해에서 출발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였다. 그 헌장 7조에 대한민국의 건국은 하나님의 뜻을 따랐음을 선포한 것이었다. 그러나 임시정부는 건국의 초기 과정이었다. 그 결실은 1948년 대한민국의 건국이었다. 근대국가를 이룩하는 요소인 영토, 국민, 정부, 주권의 4요소를 갖춘 자유 민주주의국가, 공화정부로 태어났기 때문이다. 다만 이념에 따른 국토의 분단으로 과제를 남겼다.
대한민국의 건국과정에 한국교회는 적극적 참여와 영향력을 미쳤다. 당시의 교세는 2,793개의 교회, 5,923명의 성직자, 459, 721명의 신도가 있었다. 비록 기독교인이 전인구의 2~3% 밖에 되지 않았지만, 해방정국의 다양한 정치세력이나 사회단체 중에 가장 강력한 엘리트 그룹과 조직을 이루고 있었다.
기독교의 정신이 새 국가 건설의 이념에 일반적으로 적합하다고 인식된 점들이 있었다. 첫째 서구 여러 나라의 오랜 역사 속에서 국가와 기독교가 성공적인 관계를 가졌다는 점, 둘째는 새 나라는 도덕성이 국가건강의 척도가 됨으로 도덕적으로 고상하고 건전한 나라가 되어야 하는데 기독교가 가장 선호되었다는 점, 셋째는 기독교 자체가 민주이념을 잘 포용하고 있음으로 참 자유, 민주, 정의, 인도와 평등정신을 구현하는데 상통한다는 점이었다. 자유 민주주의, 국민 주권주의, 평화의 정체를 갖춘 기독교가 포용한 서구적 이념은 3.1정신의 요소가 되었고 사실상 대한민국 건국정신의 기초가 되었다.
건국 시기에 기독교인들이 많이 활동할 수 있었던 또 한 이유는 일제 때 많은 인재를 양성한 것이었다. 정치계의 김구, 이승만, 김규식, 여운형, 장덕수, 조병옥, 김도연을 비롯하여 교계나 학계의 한경직, 백락준, 한치진등의 인물군이 있었다. 국내에 교육기관을 많이 설립하여 인물들을 양성하였고, 중국과 미국 같은 곳에서 주로 주한 선교사들을 통해서 해외 유학생들을 길러낸 결과였다. 대한민국 애국가 작사, 작곡자도 기독교인이었다. 기독교인이 정치 일선에 나선 것도 3.1운동 정신의 유산이었다. 8.15 해방도 하나님의 은총이었다고 믿고 건국에도 적극 참여한 것이었다.
한국교회는 3.1정신을 계승하여 임정과 일제하에 독립운동을 지속시켰고 한국 역사 이래 처음으로 국민이 주권을 가진 민주 공화국 대한민국을 건국하는 데도 앞장섰다. 3.1독립운동이 한 세기를 맞이하지만, 국토가 분단된 상황은 앞으로 한국교회와 대한민국이 이어가야 할 과제가 되었다. 3.1운동과 대한민국 건국에 앞장섰던 한국교회는 기독교의 본질에 더울 충일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나아가 주권재민의 민주주의 국가를 번영토록하고, 사회정의와 개인의 자유와 인권이 보장된 사회를 이루며, 다른 한편으로 통일 한국을 이룩하는데 공헌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과 세계문화 발전에 이바지 하도록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데 앞장서는 것이 한국교회가 3.1정신을 이어가고 그 유산을 지키는 것이다.
<jaikeunc@gmail.com>
최재건 교수 | 연세대학교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토론토대학교 임마누엘 칼리지(Th. M), 예일대학교 대학원(M.A.)과 신학대학원(S. T. M.), 하바드대학교대학원(Ph. D)을 졸업했다. 고려신학대학원과 하바드대학교신학대학원에서도 공부했다. 백석대학교 교수를 거쳐 연세대학교객원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연세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에서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