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중에 워드프레스로 독립 블로그를 운영해보기 원하시는 분을 위한 연재 몇 회하려고 합니다.
이미 인터넷에 친절하고 상세한 좋은 안내서들이 많으나, 사실 초보자에게는 상세한 메뉴얼도 중요하지만 한 단계씩 함께 해볼 수 있는 안내자가 필요하겠지요.
이 연재 글의 단계 대로 해보시고 문의 사항이 발생할 경우 각 게시물 댓글로 문의하시면 신속하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 먼저 기본 세팅을 하려면 다음 사항이 필요합니다.
1) 웹 호스팅 업체에 계정을 구입할 것.
– 내 블로그를 담아 둘 인터넷 공간(서버)을 의미합니다.
– 국내 호스팅 업체인 cafe24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그 외에도 한비로, 블루웹, 가비아, iNames, dothome, MakeShop, Hub Web, Asadal, Whois.kr, ivyro, Nuri Hosting, Xynet… 이렇게 무척 많습니다만, 무료 호스팅 서비스는 피하시기 바랍니다.)
2) 도메인(자신만의 인터넷 주소)을 개설하실 분은 가비아, 후이즈, 닷네임코리아, 아이비아이 등 도메인 등록 업체에서 웹 호스팅과는 별개로 구입하십시오. (웹 호스팅 업체가 도메인 등록을 겸하는 곳도 있습니다)
2. 워드프레스 간단 기본 지식
1) 워드프레스는 보통 가입형과 설치형으로 분류합니다. 가입형은 네이버나 다음의 블로그 서비스 같은 것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설치형은 블로그를 위한 웹 CMS 프로그램 일체를 직접 자신의 웹 공간에 설치를 해서 쓰는 것을 말합니다. 워드프레스의 모 회사인 오토매틱스는 가입형 서비스는 WordPress.com에서 운영하고, 이와 별개로 WordPress.org에서 설치형 파일을 배포하면서 지속적인 업그레이드와 함께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우리는 설치형으로 진행할 것입니다. 설치형으로 하면 500원으로 시작할 수 있지만, 가입형은 유지비가 꽤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3. 자 그럼 카페24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서아래와 같은 가격/사양표를 보시고 월 500원짜리를 결제하십시오(설치비 포함 첫 회 5,500원). 아예 월 1,100원짜리 사양을 고려해도 됩니다. 무엇으로 선택하든 차후 업그레이드 또는 다운그레이드 가능합니다.
결제를 하고 나면 우선 기본 화면이 뜰 겁니다. 나만의 홈페이지 공간이 생긴 것입니다. 이제 워드프레스를 풀어넣을 차례입니다.
